“이미지 품질이 안 좋은 건 왜일까?”
“DPI랑 PPI는 뭐가 다르지?”
디지털 시대에 살면서도 우리는 ‘픽셀’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디지털 이미지와 화면 해상도의 핵심 단위인 ‘픽셀’과 관련된 주요 개념 10가지를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픽셀 해상도란? 🔍더 자세히
픽셀 해상도는 이미지나 화면이 얼마나 많은 픽셀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
예: 1920×1080 해상도 = 가로 1920픽셀 × 세로 1080픽셀
👉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선명하고 세밀한 표현이 가능합니다.
2. 픽셀 밀도 (PPI, DPI) 🔍더 자세히
픽셀 밀도는 일정 공간에 몇 개의 픽셀이 들어가는지를 뜻합니다.
- PPI (Pixels Per Inch): 디스플레이의 선명도를 나타냄
- DPI (Dots Per Inch): 주로 인쇄 시 사용되는 단위
👉 같은 해상도라도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선명도가 달라집니다.
3. 픽셀 아트 🔍더 자세히
픽셀 아트는 픽셀 단위를 활용해 표현한 디지털 그림입니다.
게임, NFT, 레트로 디자인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, 낮은 해상도로도 높은 감성을 전달합니다.
🎨 대표 예시: 슈퍼 마리오, 도트 그래픽
4. 픽셀 손상이란? 🔍더 자세히
화면이나 이미지에서 특정 픽셀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색이 이상하게 표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.
- 죽은 픽셀(Dead Pixel): 아예 꺼져 있는 상태
- 고착 픽셀(Stuck Pixel): 한 색상으로 고정된 상태
5. 픽셀 테스트 방법 🔍더 자세히
모니터나 디스플레이의 불량 픽셀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툴이 존재합니다.
💻 대표 사이트:
- Dead Pixel Test
- Eizo Monitor Test
👉 화면 전체를 흰색, 빨강, 파랑 등으로 바꿔 불량 여부 확인
6. 픽셀 수리 가능할까? 🔍더 자세히
고착 픽셀은 간혹 수리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.
- 물리적 압력, 반복적 점멸, 픽셀 복구 앱 등을 활용
하지만 죽은 픽셀은 대부분 수리가 어렵고, 교환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7. 픽셀 단위란? 🔍더 자세히
웹디자인이나 UI/UX 작업에서 **픽셀(px)**은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.
예: margin: 20px;
👉 반응형 디자인에서는 em, %와 함께 적절히 혼합 사용해야 유연한 레이아웃 가능
8. 픽셀 vs 포인트 (pt) 🔍더 자세히
- 픽셀(px): 스크린에 기준
- 포인트(pt): 인쇄물에서 사용되는 단위 (1pt ≈ 1/72 inch)
두 단위는 상황에 따라 변환되어 사용되며, DPI 설정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.
9. 픽셀 DPI란? 🔍더 자세히
**DPI (Dot Per Inch)**는 프린터나 이미지 해상도에서 인쇄 밀도를 의미합니다.
- 일반 문서: 72~150 DPI
- 고해상도 사진 인쇄: 300 DPI 이상
👉 웹용과 인쇄용 이미지는 DPI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목적에 맞게 설정 필요
10. 픽셀 PPI란? 🔍더 자세히
**PPI (Pixel Per Inch)**는 화면의 픽셀 밀도를 뜻합니다.
- 스마트폰, 모니터, 태블릿 등의 화질 비교에 사용
- 예: iPhone Retina 디스플레이는 326 PPI 이상
👉 같은 해상도라도 PPI가 높으면 화면이 훨씬 더 ‘날카롭고 정밀하게’ 보입니다.
마무리하며 📝
픽셀은 단순한 ‘점’이 아닙니다.
디지털 세상의 기본 단위이자, 해상도, 품질, 디자인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.
📌 다음에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모니터를 살 때, 픽셀 관련 정보를 체크해보세요.
그리고 무엇보다도, **픽셀은 ‘단위’가 아니라 ‘경험의 질’**이라는 사실, 잊지 마세요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 같은 해상도인데 어떤 화면은 더 선명할까? PPI vs DPI의 결정적 차이 (0) | 2025.04.18 |
---|---|
사진은 선명한데 왜 흐릿해 보일까? 픽셀 해상도의 비밀 진짜 이해하기 (0) | 2025.04.18 |
런던에서 단 하루! 스톤헨지 투어로 떠나는 고대 문명 체험기 (0) | 2025.04.16 |
단순히 오래됐다고 세계유산이 되는 게 아니다? 등재 이유 총정리! (0) | 2025.04.16 |
스톤헨지, 사실은 고대 천문대였다? 하지와 동지의 비밀 (0) | 2025.04.16 |